스킵네비게이션

알림 레이어팝업닫기
알림
확인 레이어팝업닫기
복수전공신청서 뷰어 다운로드
복수전공포기신청서 뷰어 다운로드

최소전공 인정학점제의 시행에 따라 학생이 재학 중 2개 이상의 전공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 가.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제외), 사범대학, 경영대학, 경제통상대학, 생활환경대학, 예술대학 한국음악학과 및 예술문화영상학과, 나노과학기술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 정보의생명공학대학, 스포츠과학부
  • 나. 경제통상대학 국제학부 : Global Studies Program), Korean And East Asian Studies Program
  • 다. 융합전공 : 지능형 헬스사이언스 융합전공, 핀테크융합전공
  • 가. 1학년 수료학점 이수자(신청 전까지 취득한 학점의 합)

    ※ 학과별 1학년 수료학점 참고

  • 나. 2005학년도 이전 입학자 : 30학점 이상 취득자(개정 전 학칙 제45조)

    ※ 2005학년도 이전 입학자로서 이전에 이수학기가 전혀 없는 경우 “가”항 적용

  • 매 학기말(1월, 7월 중순경)에 지원신청 기간을 별도로 지정
  • 가. 복수전공 배정비율
    1. 학과(부)별 정원의 50% 범위 내에서 학과(부) 자체적으로 배정비율을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모집학과(부)나 전공에서 요청할 경우 100% 이내로 허용할 수 있음
    2. 경제통상대학 국제학부 Global Studies Program, Korean East Asian Studies Program의 경우 각 55명 내외
  • 나. 선발기준 : 각 학과(부)에서 자체적으로 정한 기준에 의함.
  • 가. 복수전공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과(부)의 기초필수 및 최소전공인정 학점을 모두 이수하여야 한다.
    1. 2009학년도 교육과정 적용 대상자
      • 가) 이수과목
        • 최소전공인정학점 : 전공기초와 전공일반(전공필수 및 전공선택)
        • 공과대학, 나노과학기술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지역환경시스템공학과, 조경학과 : 지정된 전공기초과목 15학점과 전공일반과목 36학점
        • Global Studies Program : 전공기초과목 12학점과 전공일반과목 36학점
      • 나) 중복 편성된 경우 : 전공1학과(부)와 전공2학과(부)에 중복 편성된 필수과목은 이수한 것으로 인정하되, 중복된 교과목은 전공2학과(부)의 전공선택과목으로 충족하여야 한다.
    2. 2013학년도 교육과정 적용 대상자
      • 가) 이수과목
        • 최소전공인정학점 : 전공기초와 전공일반(전공필수 및 전공선택)
        • 공과대학, 나노과학기술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IT응용공학과,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조경학과 : 지정된 전공기초과목 15학점과 전공일반과목 36학점
        • Global Studies Program : 전공기초과목 12학점과 전공일반과목 36학점
      • 나) 중복 편성된 경우 : 전공1학과(부)와 전공2학과(부)에 중복 편성된 필수과목은 이수한 것으로 인정하되, 중복된 교과목은 전공2학과(부)의 전공선택과목으로 충족하여야 한다.
    3. 2017학년도 교육과정 적용 대상자 중 2019학년도 1학기 이전 선발자
      • 가) 이수과목
        • 최소전공인정학점 : 전공기초와 전공일반(전공필수 및 전공선택)
        • 공과대학, 나노과학기술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IT응용공학과·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조경학과 : 지정된 전공기초과목 15학점과 전공일반과목 36학점
        • Global Studies Program : 전공기초과목 12학점과 전공일반과목 36학점
      • 나) 중복 편성된 경우 : 전공1학과(부)와 전공2학과(부)에 중복 편성된 필수과목은 이수한 것으로 인정하되, 중복된 교과목은 전공2학과(부)의 전공선택과목으로 충족하여야 한다.
    4. 2017학년도 교육과정 적용 대상자 중 2019학년도 2학기 이후 선발자
      • 가) 이수과목 : 복수전공 학과(부)나 전공의 최소전공 교과목 및 이수학점
      • 나) 중복 편성된 경우 : 소속 학과(부)나 전공에서 이수한 전공과목이 복수전공의 전공과목과 유사 또는 동일한 경우 중복된 과목에 해당하는 학점을 복수전공학과(부)나 전공에서 정한 다른 전공과목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5. 2021학년도 교육과정 적용 대상자
      • 가) 이수과목 : 복수전공 학과(부)나 전공의 최소전공 교과목 및 이수학점
      • 나) 중복 편성된 경우 : 소속 학과(부)나 전공에서 이수한 전공과목이 복수전공의 전공과목과 유사 또는 동일한 경우 중복된 과목에 해당하는 학점을 복수전공 학과(부)나 전공에서 정한 다른 전공과목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 나. 복수전공의 구분은 전공1 [소속 학과(부)], 전공2 [복수전공학과(부)]로 구분한다.
  • 다. 복수전공 신청 후 복수전공을 이수하지 못할 사유가 발생하면 반드시 포기원을 소속 학과(부)에 제출하고 소속 학과(부)에서는 소속 대학을 경유하여 총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 복수전공자가 복수전공 이수를 포기할 경우 취득학점은 일반선택학점으로 인정한다.
  • 가. 복수전공 이수자로서 소정의 과정을 이수한 학생에게는 하나의 졸업증서에 전공1학과(부)와 전공2학과(부)의 학위명을 표기하여 수여한다.
  • 나. 소속 학과의 졸업 소요학점에 도달한 자가 복수전공을 이수중 일 때에는 복수전공 이수 소요학점을 취득할 때까지 학위수여를 유보할 수 있으며, 복수전공 소요학점을 취득하기 전에 중도 포기한 자와 재학연한 이내에 이수하지 못한 자에게는 소속 학과 전공(전공1)만으로 학위를 수여한다.
  • 다. 복수전공 이수를 완료하여도 소속 학과(전공1)의 졸업요건을 갖추지 못하였을 때에는 학위수여를 할 수 없다.
  • 복수전공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은 제1전공(주전공)과 복수전공 학과나 학부 중 등록금이 많은 학과(부)의 등록금 범위 내에서 총장이 정하는 금액을 납부하여야 하며, 납부 후 복수전공을 포기하더라도 등록금의 차액분은 환불되지 않는다.
  • 사범대학 이외의 타 대학 학생이 사범대학의 학과를 복수전공으로 이수하더라도 교원자격증은 취득할 수 없다. 단, 일반대학 교직과정 이수예정자로 선발된 학생이 사범대학의 소속학과 및 교직과정이 설치된 학과에서 복수전공과 교직 복수전공 이수예정자로 선발된 경우 주전공과 교직 복수전공의 교원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다.
학과별 1학년 수료 학점 목록
교육과정 적용년도 대학명 학과명 졸업 학점 1학년 수료학점 비고
2017~ 경제통상대학 국제학부 125 32학점 이상
인문대학, 스포츠과학부 전 학과 126
사회과학대학 전 학과(사회복지학과, 문헌정보학과 제외)
경영대학 경영학과
경제통상대학 전 학과(국제학부 제외) 128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문헌정보학과 129
자연과학대학, 생활환경대학, 예술대학 전 학과
생명자원과학대학 식품자원경제학과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과, 원예생명과학과, 동물생명자원과학과, 식품공학과, 생명환경화학과, 바이오소재과학과 132 33학점이상
정보의생명공학대학 전학과 133 34학점이상 2020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독어교육과, 불어교육과, 교육학과, 일반사회교육과, 역사교육과, 지리교육과, 윤리교육과, 체육교육과 135
공과대학 전 학과(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제외) 137
나노과학기술대학 전 학과
생명자원과학대학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IT응용공학과,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조경학과
간호대학 간호학과 140 35학점이상 2019
134 34학점이상 2020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특수교육과, 수학교육과, 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생물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 141 35학점이상
약학대학 전 학과 156 44학점이상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168 34학점이상
2013~2016 경제통상대학 국제학부 125 32학점 이상
인문대, 스포츠과학부 전학과 126
사회과학대학 전학과(사회복지학과, 문헌정보학과 제외)
경영대학 경영학과
경제통상대학 전학과 (국제학부 제외) 128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문헌정보학과 129
자연과학대, 생활환경대학, 예술대학 전학과
생명자원과학대학 농업경제학과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과, 원예생명과학과, 동물생명자원과학과, 식품공학과, 생명환경화학과, 바이오소재과학과 132 33학점 이상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독어교육과, 불어교육과, 교육학과, 일반사회교육과, 역사교육과, 지리교육과, 윤리교육과, 체육교육과 135 34학점 이상
공과대학 정보컴퓨터공학부, 전기컴퓨터공학부 정보컴퓨터공학전공 136
공과대학 전학과(정보컴퓨터공학부 및 전기컴퓨터공학부, 정보컴퓨터공학전 제외, 건축학과 및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제외) 137
나노과학기술대학 전학과
생명자원과학대학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IT응용공학과,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조경학과
간호대학 간호학과 140 35학점 이상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특수교육과, 수학교육과, 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생물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 141
약학대학 전학과 163 44학점 이상 2015
156 2016
공과대학 건축학과 및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168 34학점 이상
2011~2012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생활환경대학, 예술대학, 스포츠과학부 전학과 132 33학점 이상
생명자원과학대학 농업경제학과
경제통상대학 전학과 (국제학부 제외) 134 35학점 이상
경영대학 경영학과
공과대학 전학과 (건축학과 제외) 140
간호대학, 나노과학기술대학 전학과
생명자원과학대학 전학과 (농업경제학과 제외)
사범대학 전학과 141
약학대학 전학과 163 44학점 이상
공과대학 건축학과 168 34학점 이상
경제통상대학 국제학부 132 33학점 이상 2011
134 35학점 이상 2012
2009~2010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상과대학, 생활환경대학, 예술대학,    스포츠과학부, 관광컨벤션학부 전학과 132 33학점이상
생명자원과학대학 농업경제학과
공과대학 전학과 (건축학과 및 건축학전공 제외) 140 35학점 이상
간호대학, 나노과학기술대학 전학과
생명자원과학대학 전학과 (농업경제학과 제외)
사범대학 전학과 141
약학대학 전학과 150 37학점 이상
공과대학 건축학과 및 건축학전공 168 34학점 이상